골프백 썸네일형 리스트형 페이드 샷으로 정확한 목표 공략 살짝 왼쪽으로 뻗어 나가다가 끝에서 오른쪽으로 살짝 휘는 공을 페이드 볼(Fade ball)이라고 한다. 거리 면에서 손해를 볼 수 있지만 일부러 페이드 볼을 구사하는 프로들도 있다. 스윙을 아웃 투 인으로 만들어 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어드레스 시에 스탠스를 오픈시키고, 어깨도 약간 오픈시켜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임팩트 순간에 자연스럽게 공이 열리게 되어 페이드 구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급 기술은 충분한 연습을 해야만 구사할 수 있다. 연습 없이 시도하면 슬라이스가 돼 오비가 날 수 있다. 1. 페이드 샷을 할 때는 공을 안쪽으로 잘라 치는 이른바 컷 스핀을 하므로 샷의 거리가 줄어든다. 따라서 좀 더 긴 클럽을 선택한다. 클럽의 로프트가 낮을수록 샷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휘어 치기가 더 쉽다. .. 더보기 맞바람 불 때의 스윙 맞바람이 불면 비거리가 현저하게 준다. 그래서 더 많은 비거리를 내기 위해서 강하게 플레이하는 골퍼가 많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플레이하면 동작이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자연에 순응하고 평소대로 스윙한다. 맞바람이 분다면 바람에 대한 생각을 접어 두는 것도 좋다. 공의 위치 변경 공의 위치를 왼발 뒤꿈치에서 오른발 쪽으로 공 한 개 정도만큼 이동해서 스윙한다. 공의 위치가 오른발에 있으면, 임팩트 시 클럽의 로프트 각이 원래 클럽의 로프트 각보다 작게 만들어져서 공이 낮게 날아갈 수 있다. 바람을 이기기 위해서는 최대한 저공비행을 해야 효과적인 공략을 할 수 있는데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 바로 공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그러나 갑자기 공의 위치를 변경하면 슬라이스 형태의 구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스탠스.. 더보기 비거리를 내기 위한 엑스퍼터 엑스팩터란(X-factor)? 힘을 적게 쓰고 몸의 뒤틀림을 최대화하여 공의 속도를 늘리는 것이다. 스프링이 감겼다가 순간적으로 풀려나는 것처럼 힘을 이용하여 공을 쳤을 때 클럽 헤드 스피드가 증가하여 파워 샷을 할 수 있다. 상체의 회전 값과 허리의 회전 값의 차이를 엑스팩터 값이라 한다. 어깨 회전의 꼬임이 비거리의 원천 일반적으로 비거리를 내기 위해서는 어깨 회전을 많이 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단순히 어깨 회전만 해서는 비거리가 나지 않는다. 단순한 어깨 회전보다는 꼬임의 양을 크게 하는 것이 비거리의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가장 이상적인 어깨 회전은 90° 정도이다. 이때 동반되는 허리 회전은 45° 정도가 이상적이다. 어깨 회전 값에서 허리의 회전 값을 빼면 45°가량의 엑스팩터 값이 발생한.. 더보기 계절, 시간대별 공략법 골프는 햇살이 비치는 한 온종일, 그리고 일 년 내내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 각기 다른 계절, 시간대에 치는 골프는 티에서 그린까지 각기 다른 방법으로 공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특성을 잘 알고 공략해야 한다. 계절별 공략법 특히 계절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겨울철에 얼어 있는 그린에서는 해가 여름보다 높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그린이 빨리 마르지 않아서 계속 느린 상태로 남아 있다. 게다가 그린 키퍼들도 한여름만큼 그린을 짧게 깎지 않는다. 이 모든 요소가 더해져서 겨울에는 그린이 느려지고 그만큼 굴곡의 영향을 덜 받는다. 쇼트 퍼팅에서도 그린의 둔덕이 여름만큼 심하게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반면 여름에는 공이 더 멀리 날아가고 퍼팅 그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곤 한다. 시간대별 공략법 아침이나 저녁에.. 더보기 어드레스 시 몸의 중심 잡기 어드레스 시 몸의 중심 잡기 골프 스윙은 백 스윙 시 어깨 턴, 손목의 코킹 동작, 올바른 그립 잡기 등 중요한 몇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이 요소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힘과 정확도를 만들어 낸다. 이들 요소를 연습하는 것과 함께 스윙을 바로잡기 위한 세부 움직임에도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너무 뒤쪽이나 앞쪽에 두면 안 된다 많은 아마추어 골퍼가 어드레스 시 체중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다. 체중이 발뒤꿈치 쪽에 있어야 하는지, 아니면 앞쪽에 있어야 하는지를 잘 모르고 있다. 어드레스 시에 체중을 너무 발뒤꿈치 쪽에 두면 백 스윙도 너무 몸 뒤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 자세는 흔히 무릎을 너무 많이 굽힌다는 소리를 듣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다운 스윙할 때 어깨.. 더보기 중압감 대처를 위한 퍼팅 연습 영국 최고의 골프 선수 중 한 명인 헨리 코튼은 집중적인 연습으로 유명하다. 헨리는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퍼팅을 잘하는 비결은 퍼팅 방법이 아니다. 퍼팅의 비밀은 바로 정신력이다. 모든 샷은 1타로 계산되므로 1m 퍼트도 300야드의 드라이버 샷과 똑같이 중요하다.”라고 했다. 그의 말처럼 성공적인 퍼팅을 위해서는 퍼팅 상황을 침착하게 대처하고 잘 컨트롤하는 것이다. 성공 퍼팅을 위한 연습 방법 네 가지를 소개한다. 중압감 대처 연습 그린 위로 올라갔을 때 중압감이 느껴지면 퍼팅을 하기 전에 심호흡을 하여 두근거리는 마음을 가라앉힌다. 이어 의식적으로 퍼터를 가볍게 잡는다. 이렇게 하면 근육의 긴장감이 완화된다. 다양한 라이의 퍼팅 연습 홀컵 주변으로 60cm 거리를 두고 열두 개의 공을 둥글게 놓는.. 더보기 일자 스트로크 많은 사람이 일정한 스트로크가 되지 않아 공이 이리저리 많이 흔들린다. 일자 스트로크 연습은 매일 일정하게 해야 한다. 퍼터의 일자 스트로크 연습법은 30cm 막대자 하나면 된다. 막대자 연습법 1. 어드레스할 때 자신의 퍼터 헤드가 정확하게 목표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2. 퍼터를 잡고 어드레스를 취한 뒤 클럽 페이스에 막대자의 한쪽 끝을 갖다 댄다. 뒤로 물러 나와 자의 방향을 살펴본다. 아마도 자는 홀과는 엉뚱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을 것이다. 아마추어 골퍼는 물론 프로에게도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이 상태로 퍼팅하면 퍼팅 스트로크의 기복이 심해진다. 막대 자가 홀을 바라볼 때까지 연습 편차를 최소화하고 항상 일정하고 바른 목표를 만들려면 자의 방향이 홀을 바라볼 때까지 연습한다. 반대로 자를 먼.. 더보기 낮은 스트로크를 위한 동전 치기 연습 퍼팅을 잘하려면 공은 항상 홀을 지나가야 한다. 공이 홀에 미치지 못하면 공이 들어갈 확률은 0%이다. 하지만 홀을 지나치는 공이 들어갈 확률은 언제나 열려 있다. 공이 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대부분 스트로크가 너무 높을 때이다. 퍼터 헤드의 중앙 부위에 공을 맞히지 못하고, 리딩 에지 가까운 곳에 임팩트되어 공이 전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미스 샷을 없애기 위해서는 낮은 스트로크를 연습해야 한다. 지면에 닿을 듯 말 듯 낮게 가는 스트로크를 만드는 데는 동전 치기 연습이 효과적이다. 동전 치기 연습을 하다 보면 스트로크가 낮게 가서 퍼터 헤드의 중앙에 공을 맞힐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동전치기 연습은 낮고 일정한 스트로크를 익힐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골프용품 저렴하게 살수있는 공구 ..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