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생크란?
샤프트쪽 클럽헤드 끝부분인 힐(Heel)에 공이 맞아서 의도치 않게 우측으로 심하게 굴러가는 미스샷을 말합니다.
긴 클럽의 드라이버나 우드, 아이언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숏아이언에서 많이 발생되는 미스샷입니다.
2.생크(Shank)가 생기는 이유(1)
- 셋업시 그립 끝이 몸통이 가까울 때 일어납니다.
셋업시 그립끝과 몸통이 가까우면 임팩트시 공을 칠려고 상체가 일어나게 될 확률이 많아지고 만약에 상체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해도 정확한 릴리즈를 할수 없을 뿐더러 스윙자체가 아웃에서 인으로 오게 되며 생크를 유발합니다.
그립 끝과 몸통의 간격은 주먹으로 한개반에서 두개 정도만 들어갈 수 있으면 적당합니다.
3.생크(Shank)가 생기는 이유(2)
- 테이크백 시 클럽을 너무 안쪽으로 빼면 생크 확률이 높아진다.
백스윙시 기본 셋업에서부터 손목을 너무 빨리 꺽는 다는 뜻, 이렇게 되면 다운스윙시 상체가 돌지 못하여 인에서 아웃으로 스윙을 하는 경향이 생기며 슬라이스 및 생크를 유발합니다.
만약에 그 타이밍이 빠르게 상체가 돌았다고 해도 스윙아크와 임팩트 구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생크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4.생크(Shank)가 생기는 이유(3)
- 팔의 힘으로만 스윙시 생크 확률이 높아집니다.
다운스윙시 체중이동과 함께 몸통이 함께 움직여 주어야 하는데 팔의 힘으로만 스윙을 하게 되면 몸과 손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그런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팔의 힘이 아닌 정확한 체중이동과 클럽헤드를 공에게 던져준다는 느낌이 중요합니다.
5.생크(Shank)가 생기는 이유(4)
- 다운스윙시 코킹을 너무 끌고오면 생크 확률이 있습니다.
이 경우는 금방 치유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는 그런 경우하고는 다릅니다만 코킹한 이해가 “코킹은 최대한 늦게 풀어라”라는 말을 많이 들은 경우라면 이런 문제 될 수 있습니다.
코킹을 최대한 늦게 풀라는 이야기는 코킹을 임팩트 끝까지 가져가라는 이야기 보다는 “공을 맞출 수 있는 최대한의 시간을 끌어라”라는 이야기로 해석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