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보트(Divot)라고 해서 다 같은 디보트가 아니다. 초보자는 디보트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목적이지만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디보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적절하게 공략한다면 디보트에서도 만족할 만한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다양한 디보트 상황에서의 좋은 플레이는 싱글의 지름길로 빠르게 안내할 것이다.
디보트 상황은 한 가지가 아니다. 깊은 디보트에 빠질 수도 있고, 디보트의 앞부분 혹은 뒷부분에 공이 걸리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디보트 상황에서 다양한 공략법을 익히도록 하자.
백 스윙은 가볍게
보통 홀 주변 30야드 이내의 그린 주변 디보트 자국에서는 공을 띄워서 하는 기술 샷 대신 굴리는 방법이 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그린 주변 30~100야드 반경에서는 피치 샷을 구사해야 한다. 보통의 디보트에서는 백 스윙을 크게 하지 않는다. 백 스윙은 가볍게, 업라이트 백 스윙이 되게 한다.
디보트 탈출, 그 이상을 공략
디보트 자국에 빠진 공의 위치를 잘 살펴서 스윙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팬 자국이 아주 깊다면 공의 위치를 더 오른발 쪽으로 가져간다. 이때 체중은 왼발에 실어서 어드레스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골프장 쪽에서는 디보트 자리를 메우기 위해 보통 모래를 덮어서 잔디가 빨리 자라게 한다. 그런데 모래를 덮은 곳에 공이 놓여 있을 때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럴 때는 쓸어 치는 타법으로 스윙한다. 페어웨이 벙커 샷에서의 플레이를 생각하면 된다. 우선 이러한 상황에서는 클럽을 짧게 잡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모래를 건드리지 않고 최대한 공만 걷어 내야 좋은 플레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한다: 앞쪽
디보트 안에서도 공의 위치에 따라 치는 게 다르다. 팬 곳 앞쪽에 공이 걸쳐 있으면 공 뒤에 장애물이 없어서 타격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공 앞쪽으로 오르막이 형성돼 있기 때문에 정확히 타격했을 때 공이 평소보다 더 높이 날아가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그래서 클럽을 한 클럽 더 길게 잡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공이 뜨게 되어 그린에 안착하면 런의 발생은 적지만, 그린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어서 한 클럽을 더 길게 잡고 플레이한다.
공의 위치에 따라 상황 이해: 뒤쪽
공이 디보트 뒤쪽에 있을 때는 공의 허리 부분을 찍어 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물론 그린에 떨어진 뒤 공이 많이 굴러가는 것은 고려해야 한다. 그린 앞에 장애물이 있어서 공을 띄워야 한다면 클럽 페이스를 열어서 펀치 샷하는 느낌으로 클럽 궤도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강하게 내리 찍는다. 이때 슬라이스가 나므로 목표물보다 왼쪽으로 어드레스한다. 체중은 왼쪽에 싣고 어드레스하는 것이 강한 다운 블로 플레이를 하는 지름길이다.
골프용품 저렴하게 살수있는 공구 밴드 초대합니다